Osteoarthritis
퇴행성 무릎관절염은 노화, 과사용, 외력, 손상, 불안정성, 유전, 비만, 근력저하 등 여러 원인들에 의해
무릎 연골이 소실되면서, 관절면이 불규칙해지고, 점차 관절 간격이 감소하며, 관절면이 흔들리고, 관절의 변화(오다리)까지 초래하는 질환으로
주로 통증, 부기, 압통, 삼출액 고임, 돌출, 운동범위감소, 체중부하장애 등의 전반적인 관절이상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무릎연골은 약 3~4mm의 두께로 무릎의 뼈를 감싸주는 구조로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쿠션의 역할과
매끄러운 관절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는 윤활막 같은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오랜 기간 무릎을 사용하여 연골에 마모가 발생해서 점차 연골막이 얇아지거나 심한 충격이나 무리한 사용으로
연골이 벗겨지면서 뼈에서 떨어져 나오면서 연골막 관절면이 불규칙하게 변하면서 무릎의 퇴행성관절염이 시작이 됩니다.
한 번 손상된 연골은 스스로 치유되거나 잘 재생되지 않기 때문에 손상에서 회복되지 못하고,
점차 악화되면서 퇴행성관절염으로 급속도로 진행하게 됩니다.
켈그렌 로렌스 분류법(KL grade : Kellgren Lawrence grade)
퇴행성관절염은 대체로 노화나 무리한 사용(과사용)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데 과도하고,
지속적인 반복적인 마찰에 의해 주로 무릎내 연골이 마모되면 닳거나 벗겨지고,
삐걱거리게 되고, 이어 반달 연골판도 해지고 약해지면 관절면은 더욱 불규칙해지게 움직이게 되면서 관절염으로 서서히 진행됩니다.
얇아지고 마모된 연골과 약해지고 헤진 반달연골판에 의해 대퇴뼈와 정강이뼈 사이공간이 좁아지게 되면서
무릎관절 간격이 가까워지는데 무릎간격이 가까워지면 무릎주위의 인대가 헐거워지고 느슨해지면서
무릎이 흔들리는 불안정성이 추가로 발생하게 됩니다.
이런 불안정성은 관절면이 불규칙하게 움직이게 하며, 삐걱거리게 되면 다시 추가적인 연골손상이 발생하고,
손상을 입어 떨어져 나온 연골조각이나 찢어진 반달연골판에 의해 무릎관절내에서 염증반응이 더욱 증폭되고,
이런 염증반응에 의해 무릎관절손상이 더욱 진행되는 악순환을 겪게 됩니다.
주로 체중이 가해지는 자세인 서 있거나 걸을 때, 앉았다 일어날 때 무릎 주위에 통증이 발생합니다.
무릎 관절염이 발생하면 서 있거나 걸을때처럼 활동할 때 통증이 심해지는데 주로 앉았다 일어나기, 걷기, 오래 서있기,
계단 오르내릴 때 통증으로 인해 힘들며, 통증외에도 관절에서 열이 나고, 부으며, 물이 차기도 하며 점차,
관절의 모양이 변해 아픈 부위가 튀어나오기도 하고 뼈가 자라난 것 같기도 합니다.
무릎 관절염이 진행되서 무릎 사이가 점차 벌어지고 휘어지는 변형이 오면, 무릎을 완전히 구부리거나 다 펴지지 않기도 하는데
특히, 쭈그리는 자세는 통증이 심해 불가능해지기도 합니다.
Knee Cartilage Damage
무릎연골은 약 3~4mm의 두께로 무릎의 뼈(허벅지뼈, 종아리뼈, 슬개골)를 코팅하듯 덮고 있으면서
관절이 움직일 때 매끄럽고 부드럽게 움직일수 있도록하며, 뼈끼리 부딪히는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물로서 일종의 쿠션같은 역할을 하고
관절의 움직임을 원활하게하는 윤활막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무릎에 갑자기 심한 충격이 가해지거나 과한 체중부하나 오랜 기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마모 등이 발생하면
연골면에 균열, 갈라짐, 찢김, 벗겨짐, 부풀어 오름, 들뜸, 떨어져 나옴 등과 같은 구조적인 이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연골은 스스로 치유되거나 재생되지 않기 때문에 점차 손상된 연골상태가 지속되고, 점차 악화되어 퇴행성 관절염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심각한 무릎 연골손상 증상의 원인은 퇴행성, 부상, 감염, 통풍등 환자분들마다 다른 원인이 있습니다.
무릎 연골이 손상되면 관절면이 불규칙해지면서, 마찰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로 인한 불편감이 생깁니다.
연골손상 초기에는 주로 시리고 애린감, 뻑뻑한 감이나 이물감이 느껴집니다.
간혹 열감이 있고, 부기가 생기거나 물이 차기도 합니다.
하지만 연골손상이 상당히 진행되어 후기가 되면 벗겨진 연골밑의 골막까지 노출이 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앉았다 일어날때나
체중을 가해 부딪힐 때마다 통증에 예민한 골막이 자극을 받으며 통증이 심해지게 되며,
매끄럽던 관절면이 울퉁불퉁해져 불규칙해져 관절면의 마찰이 더욱 증가하게되면 움직일 때마다
걸리는 느낌, 덜거덕 거리고, 바그락 거리는 소리까지 느껴지면서 통증이 심해지게 됩니다.
Cruciate Ligament Tear
무릎의 주요 인대는 4개로 전·후방 십자인대와 내측, 외측 측부 인대가 있으며,
앞/뒤, 내/외측 안정성을 책임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무릎의 십자인대는 경골(정강이뼈)과 대퇴골(허벅지 뼈)를 연결하는 전방십자인대와 후방십자인대로
2개의 인대가 X자 모양으로 교차한 형태를 띠고 있으며, 무릎관절이 전/후방으로 흔들리는 것을
잡아주어 안정적인 움직임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구체적으로 전방십자인대의 경우, 정강이뼈가 대퇴뼈에 비해 앞쪽으로 어긋나는 것을 잡아주며,
후방 십자인대는 정강이뼈가 대퇴뼈에 비해 뒤쪽으로 어긋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무릎관절에는 전/후방 십자인대 이외에도 내/외측 측부인대가 존재하는데 각각 무릎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주로, 내측 측부인대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미끄러지면서 다리가 벌어지거나 넘어지면서
다치는 경우들이 많고, 대퇴뼈 부착부에서 주로 파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파열된 부위는 부어오르며,
누르면 압통이 심하고, 통증으로 인해 무릎을 구부리고 펴기가 힘들어지게 됩니다.
십자인대손상은 대부분 운동 중 외상에 의해 발생하며, 외부 충격에 의해 무릎관절이 뒤틀리며
안쪽, 바깥쪽, 앞쪽으로 심하게 꺽일 때 십자인대가 손상됩니다.
전방십자인대 파열은 축구, 농구, 핸드볼, 스키 등의 운동을 하는 중에 갑자기 멈추거나 방향을 바꿀 때,
상대 선수와 충돌을 할 때, 교통사고시에 발생되기 쉬우며, 후방십자인대 파열의 경우,
낙상이나 슬관절 90도 굴곡 위에서 발생하는 직접 손상이 주 원인이며, 무릎에 직/간접적인 강한 충격이 가해지면서
십자인대가 찢어지거나 끊어지게 되면서 파열이 발생하게 됩니다.
환자분들은 다치면서 무릎에서 ‘뚜둑’하는 파열음을 듣는 경우가 많으며, 이후에 극심한 무릎의 통증을 호소하며,
관절내 출혈로 인해 혈액이 고여 무릎이 붓고 빵빵해져 불편감이 심해집니다.
또한 보행시나 움직일 때마다 무릎이 흔들리며 어긋나는 불안정한 느낌을 받게 되며,
체중이 가해질 때마다 통증으로 인해 보행에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이런 초기 증상을 겪고 1~2주가 경과하면, 극심했던 통증은 나아지지만 점차 무릎 관절에 불안정성이 생기고,
무릎주위에 근육이 줄어들게 되어, 무릎에 힘이 빠지는 느낌, 휘청거리는 느낌을 호소하는데 주로 계단을 내려올 때,
등산하고 내려올 때, 걷거나 뛸 때, 방향전환을 할 때 무릎에 힘이 빠지거나 불안하다는 느낌을 경험하게 됩니다.
십자인대파열은 병력청취 및 이학적 검사, MRI와 같은 정밀검사를 통해 인대파열여부와
손상 정도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외상 후에는 기본적으로 골절 유무 등을 확인하기 위해 단순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는데
직접적으로 전방십자인대 파열을 확인할 수는 없으며, 간접적으로 시사하는 소견은 있겠지만,
확진을 위해 MRI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후방 십자인대의 경우 관절경하 십자인대재건술 등의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지만
내/외측 측부인대의 파열인 경우에는 완전파열일지라도 6주가량의 보조기 착용과 목발보행을 통한
보존적 치료만으로 회복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수술까지 필요한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십자인대 부분파열로 무릎 불안정성이 없고 경미한 경우에는 더 이상의 손상이 진행되지 않도록 보조기 및
목발착용을 4~6주 정도 시행합니다. 보조기 착용을 통해 무릎관절을 안정상태로 보호하고
이후 약물치료, 물리치료, 도수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여 통증이 가라앉으면 무릎근력강화 운동을 하여
무릎의 불안정성을 해소하고, 십자인대 완전파열로 불안정성이 동반된 경우에는 손상된 인대를 제거하고,
기증받은 인대를 이식해 파열된 인대를 대체하는 관절경하 십자인대재건술을 시행합니다.
Meniscal Tear
반월상 연골은 허벅지뼈(대퇴골)와 종아리뼈(경골)사이에 위치를 하고 있으며,
안쪽은 C자 형태, 바깥쪽은 O형태로 되어 있으며, 반달 모양의 물렁뼈를 말하며, 무릎의 충격을 흡수하여
안정감을 주며, 관절이 잘 움직일 수가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하며,
생긴 모양이 초승달과 비슷하다 해서 반월상연골이라고 하고 있으며, 무릎의 위, 아래 2개의 뼈 사이에 있는 반달모양(C자모양)의
물렁뼈로 체중전달, 충격흡수를 하는 조직으로, 하나의 무릎 안에 내측과 외측에 각각 두 개가 존재를 하는데, 퇴행성파열과 외상성 파열이 있습니다.
강한 외부적 충격이나 사고보다는 일상적 자세나 동작으로 인하여 무릎이 꺽이거나 미끄러지는 것이 반월상연골 주요 손상 원인입니다.
손상된 형태에 따라 치료 방법은 다르겠지만, 비교적 예후가 좋은 수평 파열의 경우에는
초기에 바로 치료를 시작하게 된다면 보조기 착용, 목발 보행, 약물치료, 근력강화운동, 도수, 재활치료 등을 통해
자연 치유를 이룰 수 있겠지만, 파열 정도가 심한 경우라면, 특별한 치료 없이 증상이 오래 지속된 경우에는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연골판절제술 및 연골판봉합술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연골판 절제술 : 손상된 부위가 재생이 힘든 경우, 찢어진 연골판의 경계를 부드럽게 다듬어 줌으로 추가적인 파열을 막는 치료법
연골판 봉합술 : 손상되어진 부위가 재생이 가능할 경우, 특수실을 사용하여 찢어진 연골판을 봉합하여 다치기 전의 모양으로 회복하게 하는 치료